전체 글

렌더링 비율 옵션의 권장 설정은 100%다 렌더링 비율은 해상도와 관련있다 본인의 모니터가 4K 모니터라면 해상도는 3840 x 2160 이다 이때 렌더링 비율을 50%로 설정하면 1920 x 1080 이 되고 이는 FHD의 해상도다 디스플레이 해상도는 그대로 유지하지만 게임이 렌더링 비율에 맞는 해상도로 렌더링한 다음 이를 원래 해상도로 업스케일링 하여 출력한다   그럼 이 옵션은 어떻게 사용하는 것일까? 랜더링 비율을 100% 아래로 설정하면  이론상 더 높은 FPS를 얻을 수 있다 이는 렌더링 과정에서의 작업량을 줄여주기 때문인데 당연하게도 렌더링은 GPU의 영역이기 때문에 GPU의 부하를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GPU의 부담이 크지 않은 와우에서는 실성능 향상은 의문이다   그럼 와우에서 이걸 어떻..
권장설정 : 끄기 수직동기화를 켜지 않았다면 활성화 하더라도 작동하지 않는다 당신의 컴퓨터가 아주 오래되었고 구렁만 도는 사람이라면 켜도 상관없지만 쐐기나 레이드 컨텐츠를 한다면 꺼라  게임은 대부분 더블 버퍼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저지연 모드 설명할때 썼던 프레임 출력 순서인데 GPU와 DISPLAY 사이에 버퍼링단계가 들어간다 예전 프레임 설정의 이해 글에서 설명을 했는데 모니터에서 화면을 출력하는 방식은 수직 방향으로 출력된다 한장의 그림은 짠 하고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화면의 위에서 부터 아래로 순차적으로 이미지를 생성한다버퍼링 단계가 없이 GPU에서 바로 디스플레이로 화면을 출력하면 모니터의 주사율에 따라 아직 완성 전인 이미지가 보여지게 된다(수직동기화도 이와 관련된 사항인데 나중에 다뤄볼거지..
와우의 저지연모드의 권장 설정은 NVIDIA Reflex(이하 리플렉스) 사용이다 대부분의 상황에서 리플렉스를 권장한다 + 부스트는 설정 시 그래픽카드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면 선택해도 괜찮다  저지연모드가 뭐야? 저지연모드란 입력 지연(인풋렉)을 줄이기 위해 만들어진 기술이다 엔비디아 리플렉스 기능 이전의 모태가 되는 기술이 저지연 모드(NVIDIA Low Latency Mode)인데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설정할 수 있었다 이를 이용해 배그, 오버워치 등에서 켜기 or 울트라를 쓰라는 설정이 공유되기도 했었다 여담이지만 저지연모드 (NVIDIA Low Latency Mode)는 DX12 게임에서는 작동을 안한다 DX11과 DX12의 프레임 관리 차이 때문에 겜바겜으로 제한적 작동 내지 효과가 없다 와우 ..
Quixote.
Quixote Blo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