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하는 권장 설정은 당연히 전체화면 (창 모드)
대부분의 게이머들은 창 모드가 게임 성능면에서 더 안좋다는 것을 인지 하고 있기 때문에
굳이 이걸 작성해야 하나 생각이 들었지만
흥미위주로 보고 가주시길 바란다
PC게임은 일반적으로 세 가지 유형의 디스플레이 모드가 있다
전체화면(Fullscreen Exclusive, FSE), 창 모드(Windowed), 테두리없는 창모드(Borderless Windowed)
전체화면은 게임이 디스플레이와 GPU 자원을 단독으로 점유해서 실행한다
(테두리가 있는) 창 모드는 윈도우DWM(Desktop Window Manager)의 제어를 받으며 실행된다
전체화면은 게임 내의 그래픽 설정이 우선 시 적용되며
창 모드는 엔비디아 제어판 같은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설정이 우선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PC게임 유저들은 전체화면이 창모드에 비해 게임 성능이 더 유리하다고 인식한다
전체화면모드의 특성 상 자원을 우선적으로 할당 받고
DWM을 우회하여 낮은 인풋렉을 유지하기 때문에 그렇다
창모드는 DWM를 거쳐 실행되기 때문에 성능면에서 전체화면 보다 아쉬운 모습을 보여준다
전체화면 모드의 단점중 하나는 흔히 다들 체험하는 알트탭 화면 전환이 느리다는 점이다
또 다른 하나는 오버레이 시스템 사용 시 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오버레이 시스템은 게임화면에 외부 프로그램의 기능을 띄우는 것을 말한다
대표적으로 디스코드의 음성 오버레이가 있고 엔비디아의 리플렉스기능
MSI의 애프터 버너같은 PC성능 체크 오버레이
그리고 OBS, 엔비디아 섀도우 플레이 같은 실시간 녹화, 스트리밍 기능이 있다
이러한 오버레이 기능은 게임이 렌더링한 프레임을 가로채서 추가 정보를 삽입한 뒤
그래픽 카드로 전달해서 출력하게 되는데
전체화면 같은 경우는 DWM의 개입 없이 실행되다 보니 오버레이 개입 시
퍼포먼스 문제, 데이터 충돌같은 문제로 사용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테두리 없는 창모드는 전체화면과 창 모드의 장점을 결합한 방식이다
윈도우 10 부터 Fullscreen Optimizations 기능이 추가되었는데
이 기능이 테두리 없는 창모드의 시작이다
테두리 없는 창모드는 DWM의 제어를 받지만
전체화면처럼 전체화면을 유지하면서도 알트탭이 더욱 빠르고
듀얼 모니터에서의 마우스 포인터 이동이 자유로우며
오버레이 시스템도 문제없이 호환된다
초창기엔 전체화면모드 보다 인풋렉이 조금 올라간다던가
특정 구형 게임에서 불안정한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요즘은 최적화가 점점 더 진행되어 DX12 기반 게임은 대부분
보더리스 창모드를 기본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WOW > - WOW 최적화 설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WOW 로딩 스크린 속도를 빠르게 해보자 (0) | 2025.02.19 |
---|---|
WOW 그래픽 설정 - 그림자 품질 (Shadow Quality) (0) | 2025.02.19 |
WOW 그래픽 설정 - 랜더링 비율 (Render Scale) (0) | 2025.02.15 |
WOW 그래픽 설정 - 삼중 버퍼링 (0) | 2025.02.14 |
WOW 그래픽 설정 - 저지연 모드 (NVIDIA Reflex) (0)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