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처 필터링은 와우의 설명처럼
기울어진 각도로 바라본 텍스처의 기본 선명도를 조절하는 옵션이다
추천하는 권장 설정은 비등방성 필터링 8배 or 16배 이다
텍스처 필터링은 PC의 성능을 많이 잡아먹진 않는 옵션이기에
최신 PC 사양을 보유중이라면 비등방성 8배 이상으로 설정하면 된다
텍스처 필터링, 이방성 필터링, 텍스처 필터 품질, 필터링 모드 등등
다양한 게임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이 옵션을 알아보자
텍스처란 3D 모델링으로 구현된 다각형 물체의 폴리곤에
질감을 입히기 위해 존재하는 이미지다
폴리곤 모델 예시
텍스처 예시
위 사진처럼 캐릭터의 모델 위에 피부 텍스를 입히는 과정을 통해 우리가 게임에서 보는 캐릭터로 완성된다
캐릭터 뿐만이 아니라 우리가 보는 모든 모델링에 텍스처가 사용된다
집 텍스처의 2D 이미지 파일
이 텍스처에 관련된 옵션이 또 있는데 텍스처 해상도 옵션이다
텍스처 해상도의 옵션이 높을수록 고해상도의 텍스처를 사용하고
품질이 낮을수록 텍스처의 해상도가 떨어진다
이 텍스처 해상도에 따라 게임이 찰흙처럼 보이기도 한다
즉, 같은 텍스처 이미지라도 해상도별로 따로 보유 중이다
이러한 텍스처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텍스처 필터링 옵션의 기능이다
텍스처를 왜 조절 해야하는가?
이 바닥 텍스처의 경우 가로세로가 일정한 이미지로 저장되어 있다
캐릭터 바로 아래있는 텍스처와 저 멀리 보이는 텍스처의 크기는 서로 다르다
이동하면서, 높은곳에서 바라보면서, 낮은곳에서 바라보면서 다르고
앵글의 기울기에 따라 또 크기는 달라지게 된다
이렇게 유저의 움직임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이미지를 자연스럽게 보여주기 위해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해주어야 한다
텍스처 필터링의 옵션 세부설정을 살펴보면
바이리니어 방식은 적용할 텍스처의 크기가 비슷한 이미지를 불러와 적용 시키는 방식이다
트라이리니어 방식은 적용할 텍스처의 크기의
상위 사이즈와 하위 사이즈 두 가지를 불러와
평균값으로 재조정하여 적용시키는 방식이다
위에서 설명했듯이 텍스처 품질 옵션으로 인해 같은 이미지가 다른 해상도로 여러 장 준비되어 있기에
바이리니어, 트라이리니어는 그 중 상황에 맞는 이미지를 골라쓰는 방식이다
해상도가 100x100 , 50x50 , 25x25 이렇게 준비되어 있고
적용할 텍스처가 75x75이라면
바이리니어 방식은 50x50 이미지를 75x75으로 늘려서 적용시키고
트라이리니어는 100x100, 50x50 이미지 두개를 불러와 평균을 내는 방식으로 적용시킨다
그럼 비등방성 필터링은 어떻게 작용할까?
위의 두 방식은 문제가 있는데
바이리니어와 트라이리니어는 가로와 세로를 균등하게 확대 시킨다
게임에서 정사각형의 텍스처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한쪽면이 더 긴 텍스처가 게임상에는 훨씬 많기 때문에
적절한 필터링 방식은 아니다
이 처럼 한쪽면이 더 긴 이미지를 필터링 적용 시키면
바이리니어는 한쪽면의 데이터가 모자라 흐릿하게 표현된다
비등방성 필터링 간단히 설명하면 가로와 세로의 크기를 비대칭으로 조절하여
정사각형으로 저장된 텍스처를 직사각형으로 적용시킬 수 있다
그래서 결과물이 바이리니어에 비해 깔끔하다
도르노갈에서 찍은 텍스처 필터링 비교 스샷
옵션에서의 2,4,8,16배는
비등방성 필터링이 가로 세로의 비율 몇 배까지 적용시킬수 있는지 표현한 것이다
16배라면 한 축이 다른 한축의 16배까지 늘어날 수 있다
이 배수가 높을수록 원거리의 텍스처가 더 선명하게 보이게 된다
이 옵션은 AA와 다르게 최적화가 잘된 옵션이기 때문에
자신의 PC 사양이 너무 안 좋은게 아니라면
비등방성 필터링 8배 혹은 16배로 설정하는 것을 권장한다
'WOW > - WOW 최적화 설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WOW 그래픽 설정 - 삼중 버퍼링 (0) | 2025.02.14 |
---|---|
WOW 그래픽 설정 - 저지연 모드 (NVIDIA Reflex) (0) | 2025.02.14 |
WOW 그래픽 설정 - 계단 현상 방지 (안티 앨리어싱) (0) | 2025.02.09 |
와우에서 인풋렉을 무시해도 될까? 주문예약시간 시스템 이해하기 (3) | 2024.11.22 |
모델을 활용한 위크오라는 PC성능 저하를 유발합니다 (0) | 2024.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