렉이 심하다면
자신의 셰이더 캐시 메모리 모드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이게 기본설정이 뭐로 되어있는지 모르겠지만
AdvancedInterfaceOption 애드온을 설치 후
ESC - 설정 - 애드온 - AdvancedInterfaceOption 항목을 펼쳐보면
CVar Browser 항목을 클릭 후 GxAllowCachelessShadermode를 검색한다
Value가 1이라면 0으로 수정한다
매크로로 바꿀 수도 있지만 현재 내 상태값을 확인하고 바꾸는 게 좋다
이 항목의 설명을 보면 CPU 메모리 세이빙 모드 라고 되어 있다
CPU의 캐시메모리 L1, L2, L3 로 오해하면 안되고 RAM의 캐시됨을 뜻한다
셰이더는 와우 화면을 렌더링 시 필요한 계산을 하는데 쓰이는 데
보통의 경우 RAM에서 캐시(예열)상태로 빠르게 필요한 부분을 뽑아오는데
GxAllowCachelessShadermode의 벨류 값을 1로 설정 할 경우
RAM대신 보조기억장치의 가상메모리를 사용하게 된다
당연히 SSD는 RAM보다 느리기 때문에 불러오는 과정에서 버벅임이 발생하게 된다
HDD에 가상메모리를 할당 하고 있다면 말할 것도 없다
기능은 당연히 RAM을 절약하기 위한 기능이고
자신의 RAM 상태에 따라 이것을 켜고 끌지 선택하면 된다
'WOW > - WOW 최적화 설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WOW 그래픽 설정 - 계단 현상 방지 (안티 앨리어싱) (0) | 2025.02.09 |
---|---|
와우에서 인풋렉을 무시해도 될까? 주문예약시간 시스템 이해하기 (3) | 2024.11.22 |
모델을 활용한 위크오라는 PC성능 저하를 유발합니다 (0) | 2024.10.19 |
WOW 그래픽 설정 - 프레임설정에 대한 이해 (5) | 2024.08.23 |
렉이 너무 심하다면? (1) - Handynotes, Adibags (1) | 2024.06.14 |